분류 전체보기
-
튼튼하고 정교한 작업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12:56
튼튼하고 정교한 작업 산호 구간을 따라가며 살피노라면 그것들이 전부 움직이지 않는 견고한 구조물일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인상은 틀린 것 이다. 경산호가 있듯이 똑같이 연산호도 존재한다. 산호초에서는 양자가 다 보이지만 그것들은 축조방식에서 서로 구분이 된다. 연산호폴립은 딱딱한 집을 짓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침상체(Sklerite)239)라는 것을 분비하는데, 이 것은 결정질의 바늘 같이 생긴 것으로 폴립은 이것을 제 교질조직 속에다 침 적시키는 것이다. 그 모양은 아주 근사해 보이 며 이것으로 인해 탄력을 지닌 구조물이 생성되게 되지만, 단단한 사촌들과는 반대로 죽고 나면 별로 남는 것이 없게 된다. 대표적으로 가장 견고한 산호는 흑산호다. 유일하게 흑산호 가 보이는 곳은..
-
땅거미가 내릴 즈음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11:00
땅거미가 내릴 즈음 효율과 도망. 산호에서의 모든 것들은 거기에 맞춰져 있다. 가능하면 적은 노력으로 가능한 한 많은 것을 얻으면서도 붙잡히는 일은 없게 하는 것이다. 여러 색깔의 줄무늬가 있는 가시돔(KorallenwiichlerF*들도 기다리는 물고 기 부류에 속한다. 녀석들은 산호의 지류 끄트머리 틈새에서 수두룩이 벼르며 기다리곤 하는데, 듬직하게 자리 잡고 있는 그 산호 덩치가 꼭 여남은쯤 되어 보이는 삽 모양의 가지뿔들로 빚어놓은 기이한 조각상 같다는 인상을 풍긴다. 실제로 엘크뿔산호(Elchhomkorallen)라는 말도 쓴다. 가시돔들은 얼 어붙은 듯 웅덩이나 틈서리에 웅크리고 있다가 덤벙대는 고기 새끼들이 바 짝’ 다가오면 불시에 튀어나온다. 그 아래쪽 엘크뿔산호 두 더미가 경계를 이 루고..
-
아는 세계의 전부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9:30
아는 세계의 전부 그러나 미 리 알려둘 것들이 있다. 그동안 해는 더 높이 떠올랐다. 몇 미터 안 되는수심이지만 빛과 파랑으로 모래와 해초밭 풍경이 대리석 무늬처럼 어른거린다. 갑자기 밑바닥이 움직 이는 것처럼 보인다. 공처럼 둥근 혹눈이 두리번거리며 이리저리 살피고 있 다. 색가오리(Siachelrochen)2241 한 마리가 날개를 퍼덕이며 위장으로 덮고 있 던 모래를 떨쳐내자 모래 알갱이 구름이 피어오른다. 놈은 이곳에 파묻혀 잠 시 꼼짝도 않고 기다리며 야간사냥을 결행해야 할지, 아니면 계속 잡아먹을 만한 것을 물색하고 있을지를 가늠해보고 있었다. 색가오리한테 그것은 아 주 복잡한 숙고를 요하는 일로, 그에 대한 대답은 흔히 뱃속의 꼬르륵 소리 에 따라 본능이 내 린다. 일순간 뱃속의 주장이 앞선..
-
협소한 공간의 거주지들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8:00
협소한 공간의 거주지들 물론 유달리 많은 종들이 모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는 장소들도 있다. 당신 이 그런 곳에 가보려면 비행기표를 끊어 몰디브나 오스트레일리아, 홍해나 카리브 해 중에서 가고 싶은 곳으로 가야 한다. 그리고 당신한테 잠수장비를 걸쳐주고 가장 좋은 장소를 안내해줄 사람만 있으면 된다. 당신은 너무 깊게 내려가지 않아도 된다. 산호는 햇빛 속에서 번성하니까. 초란 열대의 메갈로폴리스(MegalopolisF기)다. 수중에 있는 빅 애플 (Big Apple)같은 곳으로서 극히 협소한 공간의 거주지들이며 수백만의 건축가들이 지은 것이다. 그들은 얼마든지 디자인상을 받을 만도 하지만 그 런 것에는 아랑곳하지도 않는다. 이제 우리는 그들을 방문하러 가는 참이다. 그리고 우리는 벌써 부글거리며 물갈퀴..
-
이론을 제기할 것이 없다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6:30
이론을 제기할 것이 없다 일례로 나 같으면 개인적으로 굴을 좋아한다. 하지만 누가 그것을 소금 친 콧물이라고 헐뜯기라도 하면 나는 한없는 이해심을 발휘해야만 한다. 식욕 이 나도록 설명의 말을 들으면 그것이 식욕을 돋운다. 명망 있는 요리사들이 크릴 맛이 난다고 말하면 크릴 맛도 좋은 것이다. 그런데 그 작은 갑각류 녀 석은 하도 잽싸게 도망을 치곤 하니까 작은 크릴새우 녀석은 초당 60킬로미티가 님 는 속도로 뒤쪽으로 뒹겨나가면서도 적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는다, 여차하는 순간 녀 석 은 주방 안으로 떨어져 내 린다. 현재 크릴은 주로 공장에서 물고기 사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그 점에 대해서는 하등의 이론을 제기할 것이 없다. 절멸시키는 것과 단호하게 사용치 않는 것 사이에는 일련의 의미심장한 격차가..
-
조개는 또 불가사리의 식단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5:00
조개는 또 불가사리의 식단 먹이 섭취의 이런 얽힘을 나타내는 도표가 있다면 플랑크톤은 중앙의 커 다란 원에 해당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그 원에서 다시 선들이 뻗어나가 며 여러 갈래로 나뉘고, 그것은 상이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다른 유기체 들에게로 이어진다. 이를테면 어류는 해초(海草. Seegras. 거머리말)라든가 해 면, 갑각류, 파충류, 그리고 다른 물고기들까지를 즐겨 포식한다. 갑각류가 플랑크톤을 포식하지는 않지만 흔히 그것을 즐겨 먹는 해면동물과 공생하며 사는 경우가 많다. 산호는 오로지 플랑크톤만 섭취하며 살고 또 동시에 그 자신이 플랑크톤에서 생겨 나오기도 한다. 이는 연충들에게도 비슷하게 해 당되는데, 이들은 다시 갑각류들에게 먹이가 된다. 일목요연하지 않다고 보 이는가? 그건 아직..
-
동물플랑크톤 만이 아니다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3:30
동물플랑크톤 만이 아니다 끝으로 동물 플랑크톤은 몸 형태가 잘 보여서 좋은데다 동물의 삶을 산다. 거기 속하는 것으로는 아주 작은 어류나 갑각류, 좀 큰 어류의 유충들, 여러 가지 모족류 시와 그 유충들, 해파리, 불가사리 둥둥 에다 많은 것들이 더 있다. 이들은 모두 심해 속으로 삼켜지지 않으려면 계속 해서 애를 쓰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때 도움이 되는 것이 자그마한 지느러 미, 노처럼 생긴 다리, 긴 털과강모들이다. 이런 방식으로 자신의 수위를유 지하는 것은 비단 동물플랑크톤만이 아니다. 식물성 플랑크톤도 또한 온갖 가시나 긴 털 및 회전하는 편모들을 동원해서 중력에 맞선다. 보통 동물플랑크톤이라고 할 때 생각나는 것은 작은 갑각류 동물들이다. 실제로는 요각류(Copepcxden 혹은 Ruderfb..
-
승차권을 끊지 않는다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2:00
승차권을 끊지 않는다 해양의 단역배우들에게 기념비를 세워주고자 한다면 그 비명은 이렇게 되 어야 할 것 같다. 알려지지 않은 크릴새우(Krill)에게. 혹은, 알려지지 않은 조류에게. 모두가 다 주인공들이다. 하지만 그들의 규정을 벗어나지는 못한 다. 바로 푸른고래그08)나 거대상어와 같이 아가리 큰놈들에게 생존의 기반이 되어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런 지배자들로서도 플랑크톤이 없으면 자리에 서 물러나지 않을 수 없다. 과학에서 많은 점들이 그렇듯이 플랑크톤이라는 개념은 그리스어에서 온 말이며 ‘이 리저리 방황하는 것’이라든가 ‘떠돌아다니는 것’이라고 자유롭게 번 역된다. 또한 플랑크톤은 승차권을 끊지 않는다고 말할 수도 있다. 해류의 교류체계 안에서 그것은 어딘가로 갈 생각은 하지도 않으며, 따라서 떠..
-
인간은 세계를 파괴할 수가 없다카테고리 없음 2020. 9. 25. 00:55
인간은 세계를 파괴할 수가 없다 그러니까 우리도 진화 양의 모성을 기대하지는 말도록 하자. 그녀는 그런 것을 가지고 있지도 않으며, 또 자연에게는 인간이 거기서 살든 말든 매한가지다. 인간은 세계를 파괴할 수가 없다. 인간은 단지 그 자신의 세계만을 파괴할 수 있을 뿐이다.미생물에게 어 떤 의미가 주어지는지를 이해하려 면 우리는 물방울을 그 속 에 사는 녀석들과 함께 수치로 따져 추론해보기만 하면 된다. 우리가 규조류 의 무게를 하나씩 개별적으로 재보려 한다면 그만큼 매우 정교한 저울을 함 께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에 반해 바다의 조류들을 다 합친 전 체는 그 무게가 지구상에 있는 모든 나무나 양치류나 풀들을 비롯하여 그 밖의 식물들 모두를 다 합친 양보다 더 많이 나간다. 조류에 불과할..
-
잘못된 위안카테고리 없음 2020. 9. 23. 16:01
잘못된 위안 자매라 하건 수도사라 하건 벽이라 하건 간에 누구라도 30미터 높이의 경 사면을 예상하며 기꺼이 바다로 나가려 하지는 않는다. 괴물 파도의 존재가 더 이상 부인되지 않게 된 이후로 사람들은 그것이 극도로 희귀한 것이 리라 는 점으로 위안을 삼았다. 이것은 잘못된 위안이었다. 그동안 유럽의 전파탐 지 ‘환경인공위성(EWSAT)’이 밝혀주었듯이, 최소한 두 개의 그런 거대한 파도가 매일 세계의 바다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해상사고로 배가 실종 되는 통계를 연구해보면 고통스럽게도 변종파가 오늘날까지 얼마나 많은 생 명을 요구해왔는지가 분명해진다. 많은 사람들에게 가장 유명한 사례로 여 겨지는 것이 독일의 화물선 ‘뮌헨’ 호이다. 이 배는 1978년 12월 아조렌 군도 (Azoren),76) 북..